한강변 고도제한 35층 유지..개발시 산 경관 고려해야
105만㎡규모 한강숲 조성하고 역사문화둘레길 연결
서울시가 자연성과 도시경관을 살리면서 이용 편의와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한강변을 관리하기로 했다.
특히 서울 반포와 용산 지역에서 관심이 많았던 한강변 건물의 고도제한을 35층 이하로 유지하고, 망원·한남·반포 등 주요 산에 대한 열린 경관이 필요한 지역은 개발 사업 시 이를 고려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한강과 주변 지역을 포괄하는 종합 관리계획인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한강과 한강변 제방 밖(양안) 0.5~1㎞ 범위(면적 82㎢, 서울시 총면적의 13.5%)를 대상으로 한다.
시는 △자연성 △토지이용 △접근성 △도시경관 등 4대 부문 12개 관리원칙을 세웠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도시경관 부문이다. 시는 어디서나 한강의 자연과 도시경관을 쉽게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
이와 관련해 한강변 스카이라인은 ‘2030 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높이 관리 원칙을 적용, 도심과 광역중심(여의도, 용산 잠실 일부지역)은 51층 이상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주거 지역은 35층 이하에서 다양하고 균형 잡힌 스카이라인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북한산·남산·관악산 등 주요 산이 위치해 열린 경관이 필요한 지역(망원·합정·서강마포·한남 등)을 ‘주요산 자연조망 관리지역’으로 구분하고, 각종 개발사업 추진 시 배후산이 잘 보이는지 경관시뮬레이션을 진행할 기준점 10개소를 정했다.
예컨대 망원지구에서 북한산·안산이 잘 보이는지를 선유도전망대에서, 반포지구에서 관악산·현충원이 잘 보이는지를 반포대교 북단에서 경관시뮬레이션하도록 했다.
자연성 부문은 생태복원과 시민 이용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데 역점을 뒀다. 한강숲 총 104만 7000㎡(둔치면적의 11.7%)를 조성하고 호안(강기슭) 22.4㎞를 자연형으로 복원한다.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현재 주거 용도가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강변에 국공유지·공공기여 등을 활용해 수변공공용지 70여개소, 약 140만㎡ 수준의 신규 공공이용 공간을 확보하고, 여기에 여가·문화시설을 유치하기로 했다.
또 제천정·압구정·천일정 등 정자 3곳과 마포나루터·삼전나루·둑도나루 등 한강변 나루터를 복원하고, 한강변 전체를 ‘역사문화둘레길’로 연결한다. 당인리발전소도 공원화해 한강공원과 녹지로 연계하는 방안도 계획에 담겼다.
접근성 부문에서는 버스 접근성을 강화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한강까지 걸어서 10분 내외로 갈 수 있는 보행 접근 여건을 만드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수상교통 운영도 검토한다.
우선 버스접근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버스접근 나들목을 현재 4개소에서 양원·이촌·반포·자양 등 4개소를 추가하고, 보행접근 불편지역에 나들목 24개소를 추가 조성한다. 광진교는 보행전용교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여의도~잠실 간 수륙양용버스 연계, 합정~여의도~선유도, 반포~이촌~노들섬을 수상교통으로 잇는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통해 한강과 주변지역에 대한 명확한 관리 원칙과 예측 가능한 계획 방향이 마련된 만큼 앞으로는 한강이 개발을 둘러싼 논란의 대상이 아니라 자연문화유산이자 시민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승현 (eyes@edaily.co.kr)
'개발계획·개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新공항·서울~세종 고속道·평택~오송 고속鐵 '잇단 국책사업' (0) | 2015.11.27 |
---|---|
잠실·압구정·반포·이촌 재건축 인근 강변도로 덮개공원화 (0) | 2015.10.30 |
서울시, '2025년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수립 (0) | 2015.08.21 |
<그래픽> 인천시 GTX 노선 송도~잠실로 변경 추진 (0) | 2015.06.30 |
<그래픽> 서울 도시철도망구축계획 확정 (0) | 201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