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지역)자료

[스크랩] - 해안권 전역에 대한 중장기 발전 청사진 모두 확정 -

웃는얼굴로1 2010. 12. 30. 01:20

 이 번글에서는 얼마전 국토해양부에서 발표한 동해안권과 서해안권의 중장기 발전종합계획에 대하여 서해안권을 중심으로 서술하려고 합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는 대한민국의 지형적특성에 맞게 이번 발표로 해안권(동해,서해,남해)종합계획이 모두 확정되게 되었다.앞서 말씀 드린데로 서해안권은 2020년 까지 민자를 포함하여 약25.2조원의 사업비가 투자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따른 유발효과는 생산유발 52조원, 부가가치유발 24조원, 취업유발 26만명으로 기대된다.

우선 종합계획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토지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앞으로의 투자계획이나 자기토지의 이용계획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서술하려고 합니다.

 

1. 서해안권 발전종합 개요

 

 

 

 수펴경기만권

  국제비즈니스 · 물류 · 첨단산업이 복합된 동북아 경제거점

 

 

 충남서해안권

 국제관광 · 휴양산업과 기간산업이 어우러진 융복합 산업거점

 

 

 새만금권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녹색산업이 발달된 글로벌 녹색성장거점

 

 

 

 

 

 

 

 

 

 

 

 

2. 추진전략별 발전방향

 

 < 전략 1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구축>

 

  。권역내 인천, 황해, 새만금, 군산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하여 국제물류 · 컨벤션 · 관광산업 등을 융합한 「국제비즈니

    스 」거점을 조성하고 BTMICE 산업을 활성화

 

   * BTMICE :「Business Travel, 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s」, 국제회의와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컨벤션, 전시, 쇼핑, 관광, 숙박 등을 연계 결합

 

  。서해안권 지자체와 중국 동부권간 지자체장 협의회 등 환황해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산업, 서비스, 항만· 해운 등

     다각적인 협력방안을 강구하는 등 「환황해권 연계 네트워크를 조성」

 

<전략 2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벨트(파주~화성~평택~아산), 자동차산업벨트(화성~아산~홍성~군산)등 주력산업과 함

     께 신산엇육성을 통해 「글로벌 전략산업벨트」를 구축

 

    *신산업클러스터 : 항공(인천· 김포· 군산), 항공레저(태안), 조선· 해양레저(화성· 군산), 로봇(인천), 바이오(화성)등

 

  。지역별 여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부품소재단지를 조성하는 등 서해안권을 녹색성장의 거점화하는 「신재생

    에너지벨트」를 조성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 웅진/조류, 무의· 새만금/풍력,  태안/태양광 등

    *에너지 부품· 소재단지 : 화성, 시흥, 태안, 새만금 등

 

  。고유의 해양자원과 특산물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화하고 수출형 식품산업을 육성하는「식품산업벨트」를 구축

 

    *종합식품가공(새만금), 원예수출단지(서산, 당진, 태안, 김제), 농축산바이오단지(서산, 홍성), 씨푸드클러스터(보 

      령), 농수산가공단지(홍성)

 

<전략 3 글러벌 해양 생태 · 문화 관광벨트 조성 >

 

  。 지역별로 고유한 자연 · 문화적 특성을 토대로 차별화된 「권역별 관광거점」을 조성

 

    *인천 · 경기권 : 배후 수요 및 접근성을 활용한 테마파크 등 도심형 해양레저거점

      충남권 : 천수만  · 기업도시  · 안면도  · 웰빙특구 등을 활용한 특화된 국제관광거점

      전북권 : 새만금  ·  변산국립공원 등을 활용한 복합적인 휴양  · 레저거점

 

   。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역사  · 문화자원을 활용하여「체험형 관광벨트」(강화~군산)를 조성하고, 해양 · 농경자

       원 등을 주제로 「해양  · 농경 역사문화벨트」(부안~김제~고창)를 조성

 

   。갯벌(고창) ·  철새도래지(서천) · 砂丘(신두리)등 자연환경을 보전하면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생테관광거점을

    조성」하고, 지자체(김포· 강화)공동으로 서해안 하구역 관리센터도 설립

 

<전략 4 권역내외 연계 인프라 구축>

 

   。권역내 주요 거점간· 해안과 내륙간 교류확대를 위한「연계 인프라 를 지속적으로 확충」

 

    * 대전~당진고속도로의 대산항 확장 및 국도77호선의 단계적 확충 등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검토· 추진하고, 새만

      금~전주 도로도 추진방안 검토

    * 새만금~군산, 보령~조치원 철도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추진방안 마련

 

   。환황해권의 교류· 물류확대에 대응하기 위해「환황해권 거점 항만을 확충하고 거점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

 

   *인천내항 재개발, 평택 · 당진항 확충, 새만금신항 건설 등

 

 관련 원본은 주요관청자료에 올려 놓았습니다. 참조하시구요.

 다음글에서는 서해안권역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기도 개발사업 리스트를 가지고 분석한 자료를 업데이트 하게습니다.

 

출처 : (주)태성개발
글쓴이 : 고영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