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관계에서 상대를 인정하고, 상대에게 인정받는다는 것은 관계 당사자와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주요한 동기부여 요소이다.
긍정적인 말을 중심으로 한 인정은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을 수 있다’는 속담처럼 큰 투자를 하지 않고도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을 성장시키고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외부의 인정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조직 자체에서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의미 없는 일이다.
외부의 인정을 온전히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개인과 조직의 자기 인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의 욕구나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행위들과 사회의 규범과의 수많은 갈등, 끊임없이 스스로를 수신修身해야만 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에서 성장한다.
그 결과 자신이 아닌 외부에 주의注意를 기울이도록 훈련되어지고, 자신을 존재하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하기 보다는 외부의 기준 즉,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 인정받을 수 있는 존재로 전락시켜 버리는 경우가 많다.
자신에 대한 조건적 인정은 스스로에게 엄격하게 만들어 일이나 학습을 수행한 후 그 과정을 수행한 자신에게 “수고했다.”, “이렇게 해내다니 내가 자랑스럽다.” 등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정을 선행하기보다는, 외부의 평가에 집중하게 한다.
외부의 평가는 주로 ‘최선의 노력은 누구나 한다. 최고의 성과가 중요하다.’ 즉, 과정보다는 결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복되는 자신에 대한 인정은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긍정적인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토대이다.
타인과 소속된 집단의 조건적 인정이 아닌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자신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인정을 하는 시간을 잠시만이라도 가져보자.
그리고 “아무런 조건 없이 자신을 사랑한다.”고 말해보자.
다양한 일과 학습 등의 과정을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위해 꽃을 선물해보고, 삶을 충실하게 살아가는 자신을 위해 웃어보는 등 오직 자신만을 위한 인정 활동들을 해보자.
그 과정에서 삶의 새로운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 글: 마인드 디자인 컨설팅 소장 이성희
'유용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에 의해 당신은 프로그램화 되어 왔는가? (0) | 2013.12.09 |
---|---|
천장지구(天長地久) (0) | 2013.12.09 |
나는 원래 착한 사람이다. (0) | 2013.12.08 |
양적인 목표만을 추구하면 (0) | 2013.12.07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0) | 201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