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만에 공영개발 확정
서울지역 최대 무허가 판자촌인 개포동 구룡마을이 마을 형성 25년 만에 대형 주거복합단지로 바뀐다. 서울시 산하 기관인 SH공사가 주도적으로 개발을 맡는다. 건설사가 중심이 돼 개발하던 기존 '민간 개발 방식'이 아닌 공영 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20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주민 재정착과 일자리 창출 기능 등의 내용을 담은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안'을 가결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서울 개포동 567의 1 일대에 있는 구룡마을은 32만2046㎡ 규모로 무허가 건물 403동에 1242가구(2530명)가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는 작년 4월 투기세력을 차단하고 개발이익 환수를 위해 지자체가 개발하는 '공영 개발 방식'을 선택하고 구룡마을 정비계획안을 제시했다. 이후 1년여간의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지정안을 이날 마련했다.
서울시는 특히 '원주민 100% 재정착'을 위한 개발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 많은 비중을 뒀다. 이를 위해 임대아파트 1250가구를 짓고 업무용 빌딩과 의료·연구센터 등도 건설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당초 1500가구로 계획했던 민간 분양 아파트는 대폭 줄이거나 소형 타입 위주로 건립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개발계획은 구룡마을 개발계획 공모전을 실시해 결정할 예정이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개발계획·개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용동리포트] 동탄2신도시 시범단지 청약…분양가가 좌우 (0) | 2012.06.22 |
---|---|
구룡마을 판자촌 개발…임대주택만 짓는다 (0) | 2012.06.22 |
서울시 장기 도시기본계획 대수술 (0) | 2012.06.13 |
<그래픽> 인천시, 공항철도 청라ㆍ영종역 내년 신설 (0) | 2012.04.11 |
<그래픽>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내년 착공 (0) | 201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