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자산관리

부동산 초보 탈출기⑱-부동산 초보의 자산관리Ⅱ

웃는얼굴로1 2011. 11. 28. 00:32

앞서 부동산자산관리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금회부터는 세부적인 부동산자산관리를 알아보기로 한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우리나라와 일부 다른 형태의 부동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이동식 주택단지와 같은 것 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따라서 부동산 초보들을 위한 부동산자산관리에서는 보다 한국적인 자산관리를 공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무엇이 한국에서 배워야할 자산관리 일까? 최근에 다양한 기관에서 부동산자산관리사 자격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내용 및 구성과 관련해서 부동산 자산관리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 반드시 공부해야 분야를 알아둔다면, 앞으로 우리가 하나하나 배워가야 할 부동산 자산관리의 세부내용들이 아닐까 판단해 본다. 세부내용을 살펴보자.

크게 분류해 보면 부동산자산관리개론, 주거용부동산자산관리, 부동산경매자산관리, 토지자산관리, 상가빌딩자산관리로 나누고 있다.

1. 부동산자산관리개론 부동산자산관리개론 부분은 부동산자산관리 시장⦁경제⦁정책, 부동산자산관리 개발, 부동산자산관리 투자, 부동산자산관리 금융 등과 관련한 일반적인 내용과 더불어 심도 있는 내용과 최근의 트렌드를 알아야 한다. 앞서 본 연재에서 다루고 있던 내용도 있지만, 새롭게 다루어야 할 내용 또한 많다.

2. 주거용부동산자산관리 주거용부동산자산관리 부분은 주거용부동산 자산관리, 재건축아파트 자산관리, 뉴타운 재개발 관련 법령의 구성, 조합원과 조합, 분양대상규정의 이해, 주거용부동산 실전분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용 부동산은 단독주택에서부터 최근의 도시형 생활주택까지 다양한 형태의 자사관리에 대한 이론 및 실무가 필요하다. 재건축아파트, 뉴타운, 조합, 분양 등과 같은 법률과 연계된 다양한 지식과 사례분석능력이 필요하다.

타인의 말만 듣고 재건축아파트에 투자하였다가 아파트의 1/2 지분만 받게된 경우, 동일한 조합의 조합원 지분을 여러 개 매입하였다가 종국에는 아파트를 하나 밖에 배정받지 못하고 청산하여 일부 손해를 본 사례 등과 같이 본인이 잘 알지 못해서 손해를 본 사례는 너무나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3. 부동산경매자산관리 부동산경매자산관리 부분은 경매의 기초, 권리분석응용, 특수권리분석, 경매마무리 명도, 배당의 내용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부동산초보들이여 앞의 연재 내용을 다시 읽어보자. 우리는 이 내용을 벌써 다루었다. 다시 한번 복습하면 부동산경매자산관리 분야는 정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 토지자산관리 토지자산관리 부분은 토지자산관리 기초, 건축제도, 농지제도, 산지제도, 수질관련 규제제도 등의 내용을 알아야 한다. 이는 토지를 기본으로 한 건축, 개발 등을 목적으로 토지의 개발잠재력을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분야로 볼 수 있다. 부동산 초보들이 쉽게 알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향후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5. 상가빌딩자산관리 상가빌딩자산관리 부분은 상가빌딩자산관리 개론, 상가빌딩투자실무, 상가빌딩 계약실무, 상가빌딩 인수인계 실무, 상가빌딩 PM실무, 상가빌딩 매각실무 등을 공부해야 한다. 이는 소유자로서의 직접적인 상가관리 뿐만 아니라 타인의 상가를 위탁받아 관리하는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부동산자산관리에 대해 심도 있게 공부하고 이를 본인의 자산관리에 적용하는 것과 더불어 이 지식을 바탕으로 타인의 부동산자산관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직업에 대한 내용이기도 하다.

공부해야 할 내용이 참 많다. 이것을 언제 다 공부하나 걱정이 될 수 있겠지만 한 유명 인터넷까페 운영자는 "십년 안에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라는 꿈을 가진이에게 "팔년을 공부하면 이년 내에 반드시 부자가 됩니다" 라는 답을 했다고 한다. 그만큼 열심히 공부하는 것 이상의 답은 없는 듯하다. 기왕이면 부동산자산관리사 자격증에도 관심을 가져보면 어떨까?

 

<자문>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 백민석 교수 [매경닷컴 조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