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실종에 가격 급락..화재취약성 등 단점도 부각
(서울=) 홍지인 기자 = 한때 부동산 시장에서 성공신화로 통했던 주상복합 아파트에 대한 인기가 거품 꺼지듯 급격히 시들해지고 있다.
10일 국토해양부의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주상복합 아파트의 대명사로 여겨졌던 도곡동 타워팰리스 1~3차의 지난해 거래건수는 총 97건이었지만, 올 들어서는 지금까지 단 21건에 그쳤다.
그나마 8월 이후 거래된 것은 1천297가구를 통틀어 2차의 전용 115㎡, 164㎡형 2개뿐이다.
매물은 있지만 사려는 사람이 없다 보니 시세보다 대폭 낮은 가격대의 급매물만 거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실거래 가격은 바닥을 모르고 내려가고 있다.
지난 2월 거래된 타워팰리스 2차 116㎡형 39층 가격은 15억6천만원이었으나, 7월에는 같은 면적의 11층이 12억8천500만원에 팔렸다. 5개월 새 3억원 가까이 폭락한 것이다.
또 다른 강남 지역의 주상복합인 도곡동 우성캐릭터199 165㎡형은 몇 개월 전까지 13억 원대이던 호가가 최근 11억원 선까지 내렸다.
인근 M 공인 관계자는 "요즘은 급매물만 거래되면서 시세가 하향 조정되고 있다"며 "이사철의 중소형 전세 수요를 제외하면 대형 평형의 매매는 사실상 사라진 상태"라고 말했다.
경매시장에서도 주상복합은 찬밥 신세다.
지난 7일 낙찰된 도곡동 대림아크로빌 201㎡형은 두 번 유찰을 거쳐 감정가 19억5천만원의 65% 선인 12억8천여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입찰자는 단 한 명이었다.
요즘 중소형 아파트의 경매 낙찰가율이 80%를 넘기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헐값'에 낙찰된 셈이다.
이런 시장 상황을 반영해 아예 임대방식으로 분양되는 주상복합도 등장했다.
호반건설은 성남 판교신도시에 지은 전용면적 125㎡ 안팎의 주상복합 178가구를 임대 방식으로 분양하기로 했다.
판교의 높은 땅값을 고려하면 일반분양으로는 도저히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분양률을 맞출 수 없을 것이란 계산에서다.
이처럼 주상복합의 거품이 빠지는 것은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조정을 거치면서 대형·고가 주택의 인기가 가장 먼저 식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상복합은 도심 속의 고급주택을 원하는 부유층의 수요와 `랜드마크'형 집을 지어 팔려는 건설사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하나같이 고층, 대형 면적 위주로 건축돼 비싼 값에 분양됐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하락기에는 일반 아파트에 비해 넓고, 값도 비싼 '고급'이라는 딱지가 매매시장에서 독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 같은 분양 면적형의 아파트보다 전용공간이 좁은 데다 환기가 어렵고, 관리비가 비싼 점이 불황기를 맞으면서 주거시설로서의 약점으로 더욱 두드러졌다.
여기에다 최근 부산의 한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고층 주거시설이 화재에 취약한 사실이 새삼스레 부각된 것도 주상복합에 대한 인기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스피드뱅크 조민이 팀장은 "최근 지어진 주상복합 아파트는 일반아파트보다 수요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며 "찾는 사람이 드물고 가격대가 높은 편이라 거래가 안 되면서 가격이 다시 내려가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고 말했다.
ljungberg@yna.co.kr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바닥찍었나…증권사 반등전망 속출 (0) | 2010.10.10 |
---|---|
은행, 고시금리만 믿었다간 '이자폭탄' (0) | 2010.10.10 |
주택임대사업하기 좋은 지역은 어디 (0) | 2010.10.09 |
인기 소형 아파트, 서울에선 거꾸로 행보..왜? (0) | 2010.10.08 |
지하철 ‘라인’따라 아파트 시세 천차만별 (0) | 201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