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구역 중 성수 제일 빨라…
여의도, 업무·주거 복합단지로 땅 내놓으라니" 압구정 반발
3층짜리 연립주택과 낡은 단독주택이 밀집한 서울 성동구 성수1가 1동 일대 63만여㎡(약 19만평)의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앞으로 최고 50층, 평균 30층 높이의 초고층 빌딩 숲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2월 이 일대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총면적의 비율)을 314%까지 높여 최고 150m 높이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게 하는 내용의 '성수전략정비구역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지정(안)'을 고시했다. 이에 따라 성수구역은 조합을 설립해 본격적으로 아파트 개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2009년 1월 19일 "그동안 성냥갑 아파트에 막혀 사유화(私有化)됐던 한강변을 시민의 공간으로 돌려주겠다"며 '한강 르네상스'의 후속 조치로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발표했다. 발표한 지 2년여가 지난 지금 한강변 아파트의 재건축·재개발 밑그림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전략정비구역 청사진 어떻게 되나
서울시는 2007년 7월 한강 제방 바깥쪽 공공 공간을 재편하는 '한강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안)을 내놓고 나서 2009년 초 제방 안쪽 수변 지역을 재정비하는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공공성 회복을 선언하면서 성수·합정·이촌·압구정·여의도 등 5개 지역을 일종의 선도 개발지구 개념인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했다. 5개 지역 중 압구정 지구를 제외한 4개 지역은 개발 밑그림이 공개됐다. 성수구역의 사업속도가 가장 빠르고 나머지 지역은 올 상반기 중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개발에 필요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담은 지구단위계획을 결정 고시할 예정이다.
이 지구단위계획안에 따르면 대규모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여의도동 50번지 일대 여의도 지구는 40년 만에 업무와 주택이 어우러진 복합단지로 개발된다. 총 8172가구가 들어서며 조합원분 6323가구를 제외하고 971가구는 일반분양, 878가구는 임대주택으로 공급된다.
용산구 이촌·서빙고동 이촌지구는 평균 30층, 최고 50층 높이의 아파트 4339가구가 들어서고 용산공원~이촌동~한강공원이 연결된다. 마포구 합정·당인·상수동 일대 합정지구는 절두산 성지,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지 등의 역사성과 홍대 주변의 문화적 특성을 살려 개발할 계획이다. 합정역세권과 상수역세권 일대는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최고 120m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다.
◆"기부채납 비율 높다" 주민 반발
한강변 전략정비구역의 밑그림은 나왔지만 해당 지역 주민의 반발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 초 여의도, 합정지구의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려다가 무산됐다. 이들 지역 주민들은 개발예정 부지의 일부를 기부채납하라는 서울시 요구에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초고층으로 짓게 한다지만 땅을 절반 가까이 서울시가 가져가는 게 말이 되느냐"며 "기부채납 비율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합정지구 등 일부는 주민설명회가 법정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주민이 계속 반대를 하면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민 반대가 가장 심한 곳은 압구정 지구. 이 지역 주민들은 "현재와 똑같은 면적으로 집을 재건축해도 수억원의 부담금이 들어가는데 땅까지 내놓으라면 누가 찬성하겠느냐"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압구정 지구의 지구단위계획안을 마련했지만 아직 공개조차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
'재개발·재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서울에 멸실주택이 공급량보다 많아진다 (0) | 2011.06.13 |
---|---|
5층 이하 재건축ㆍ재개발 주택 규모 자율화 (0) | 2011.06.12 |
서울 재건축 값 날개 없는 추락? (0) | 2011.06.10 |
르포-고덕동 가보니/ “보금자리가 싫다”…들끓는 민심 (0) | 2011.06.09 |
리모델링 뜨거운 감자된 2층 수직증축 (0) | 201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