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부동산 관련)

아파트에도 재활용 골재 사용…소비자 걱정 커져

웃는얼굴로1 2018. 7. 8. 18:11

정부가 ‘콘크리트 골재표준 개정안’ 예고∙고시를 통해 그동안 공업단지나 도로 등 관급공사에 사용됐던 순환골재를 아파트 등 민간시장에도 쓸 수 있게 허용하며 소비자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순환골재는 노후 건축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나온 건설폐기물을 분쇄하고 선별 처리해 건설 공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 골재다. 정부는 급증하는 골재 수요를 맞출 수 있는데다 건설폐기물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부작용까지 줄일 수 있어 순환골재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05년부터 정부가 지자체에 순환골재 의무 사용을 강화하고 순환골재 사용을 활성화한 결과 2015년 기준으로 전체 건설폐기물 처리용역 시장은 8650억원대로 성장했다. 이중 관급공사 비중은 80%대에 이른다.

콘크리트 골재표준 개정안이 시행되면 지금까지 관급공사에 쏠렸던 순환골재가 민간시장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활성화가 민간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콘크리트는 아파트 등 일반 건축물 공사의 주 재료인데,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천연 골재와 비교해 가격이 낮기 때문이다. 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KS 인증을 통해 품질까지 좋아질 경우 사용량도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순환골재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든 제품이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우려가 크다. 또 순환골재가 기둥∙보와 같은 건물의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구조체에 사용돼 건물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건설업계 내에서도 순환골재 사용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국내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순환골재가 KS 인증을 받는다고 소비자들의 반응이 당장 달라질 것 같지는 않다”며 “오히려 순환골재 사용을 이유로 건축비의 삭감을 요구하는 소비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인건비 등 건설 원가 비중이 큰 데도 순환골재가 저렴하다는 사실만 두드러질 수 있다는 말이다.

소비자의 걱정도 크다. 직장인 A씨는 “정부에서 순환골재가 안전하다고 하지만 아이들과 살 새집에 건설폐기물 재활용 콘크리트가 들어간다면 아무래도 분양을 받는데 주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법 개정 이전에는 순환골재의 사용 용도가 구분된 상태에서 순환골재 사용량이 30%로 제한됐다. 하지만 개정안은 용도를 없애고 사용량도 60%로 확대했다. 문제는 현재 계량 설비 등이 제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건축에 순환골재를 60% 이상 사용해도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건설 전문가들은 “건물 수명이나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봤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6/2018070601994.html#csidx8fcab1d522323609723925330c69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