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부동산 관련)

숨죽인 강남..폭풍전야 부동산 시장

웃는얼굴로1 2017. 10. 28. 22:29

정부의 10·24 가계부채종합대책이 내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부동산 업계가 폭풍전야다.


이미 8·2 대책으로 거래가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내년부터는 다주택자들에 대한 대출 제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마감, 금리 인상, 입주 물량 폭탄 등 이슈가 쏟아져 거래 절벽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1월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제도를 개선한 신DTI를 시행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도입된다.


정부의 대출 규제 방안이 발표되자 강남 재건축 단지를 비롯해 강북 역시 정부의 후속 조처에 촉각을 세우면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예고돼 있고 국토교통부의 주거복지로드맵 발표도 앞두고 있어 수요자들은 정부의 입만 쳐다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서울 아파트 매맷값 상승세도 주춤해졌다. 이날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아파트값 동향을 보면 23일 조사 기준 서울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0.06%로 지난주(0.07%)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추석 연휴 전까지 강남권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값은 연휴 이후 2주 연속 상승폭이 감소하는 모습이다. 지난주 나란히 0.06% 올랐던 서초구와 강남구는 금주 상승폭이 0.02%, 0.04%로 줄었고 강동구도 0.12%에서 0.05%로 축소됐다.


특히 무엇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다주택자들의 움직임이 향후 부동산 시장을 판가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주택자들 역시 다음 달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 발표에 따라 보유 물건을 내놓을지, 아니면 한동안 보유하면서 시장을 지켜볼지가 정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주거복지로드맵의 경우 다주택자의 임대사업 등록 활성화, 전월세 대책, 공공임대주택 공급 계획 등의 내용을 발표할 전망이다.


다주택자들의 입장에서는 이 발표를 보고 매매를 할지, 임대사업 등록을 할지, 가족에게 증여할지 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내년 4월1일부터 양도소득세 중과가 시행될 예정이고 2주택자의 대출을 더 조이면서 다주택자가 차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내년 4월이 변곡점이 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반면 아직 주택이 없는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당장 내집 마련이 급하지 않으면 주택 구매를 내년 이후로 미룰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부터 가격 조정이 이뤄지고 입주 물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호재가 있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기존 주택시장보다 청약통장을 이용한 유망한 분양 아파트와 경매시장을 통한 공략을 고려할만 하다"면서 "단 고령자들의 주택연금 가입 필요성 증가로 생계형 주택매물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