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하차·주차장 지하화로 혼잡 없애..2019년 착공 목표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 광진구 동서울터미널이 터미널 기능은 물론, 호텔·업무공간·관광·문화 시설을 갖춘 지상 32층 규모의 현대식 건물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동서울터미널 현대화사업'을 두고 구체적인 개발 계획을 세우기 위해 토지 소유주인 한진중공업과 사전 협상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동서울터미널은 서울 동부 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는 종합터미널로 지하 3층·지상 7층 규모로 1987년 문을 열었다. 현재 134개 노선이 운영되며, 하루 평균 버스 1천790대가 운행해 서울 시내 터미널 가운데 운행량이 가장 많다.
개장 30년이 지나는 동안 노선과 차량은 많이 늘어났지만, 터미널 자체의 규모는 크게 바뀐 것이 없어 현재 차량용 공간이 포화 상태다.
차량 동선도 비효율적으로 짜여 있어 버스와 택시 등이 늘 뒤엉켜 일대에 고질적인 교통 체증이 빚어진다.
시가 추진하는 동서울터미널 현대화사업은 지상 1층 터미널 승·하차장과 주차장을 지하 1∼3층으로 지하화하고, 시설 규모를 지금의 120% 이상으로 늘려 혼잡을 줄이는 내용을 담았다.
또 다양한 주민 편의시설과 상업 시설도 지어 동서울터미널을 동북권 광역교통 중심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한진중공업이 시에 제출한 제안서를 보면 동서울터미널은 최고 32층·연면적 29만㎡ 규모로 거듭난다.
전체 시설의 30%가량을 차지하게 될 터미널을 비롯해 업무·숙박·판매·문화 시설 등이 들어선다. 버스 전용 진·출입도로, 대중교통과 연계된 지하보행공간도 마련된다.
시는 2011년 한진중공업에서 개발 구상과 사전 협상 제안서를 받은 이래 다섯 차례에 걸쳐 교통·도시계획·건축 방안 등을 두고 보완 작업을 벌여 왔다.
시는 앞으로 '협상조정협의회'를 꾸려 터미널 기능 개선, 공공 기여, 수변 경관 등을 고려해 관련 부서·전문가와 함께 적절한 방법을 찾아 나갈 예정이다.
시는 "한강·강변역·강변북로와의 연계를 고려한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자 국제 현상공모도 함께 진행할 것"이라며 "그 결과를 실제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내년까지 시와 한진중공업이 사전 협상을 마치면, 도시관리계획 결정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19년에는 착공할 수 있으리라고 시는 기대했다.
tsl@yna.co.kr
'토지(지역)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시 "목표인구 부풀렸다고?..국토부가 잘못 판단했다" (0) | 2017.08.18 |
---|---|
제주공항 주변 도시개발 예정지 개발행위허가 제한 (0) | 2017.08.18 |
2023년 송파-양평 고속도로 개통 소식에 퇴촌면 토지價 강세 (0) | 2017.08.18 |
광명시, 동작구도 투기지역 지정되나 (0) | 2017.08.18 |
브랜드 아파트 몰려드는 답십리동, 학군만 괜찮았다면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