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개 프라임오피스중 29% 싱가포르 기관 '적극 투자'
외국계 기관이 투자한 국내 프라임오피스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동산종합컨설팅회사 컬리어스에 따르면 도심권 73개 프라임오피스빌딩 중 21개(28.8%)에 외국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략 도심 주요 빌딩 셋 중 하나는 외국 자금 영향력 아래 있다는 얘기다. 2012년 서울 도심 프라임오피스빌딩 69개 중 외국인이 투자한 곳이 12개로 17.3%를 차지했는데 5년 새 그 비중이 28.8%로 11.5%포인트 늘어났다.
특히 싱가포르 기관투자가 참여가 활발하다. 외국인 투자자 중 가장 많은 국내 도심권 프라임오피스에 투자한 기관은 싱가포르계 투자자인 알파인베스트먼트다. 서울스퀘어, 퍼시픽타워, 종로타워, 센터플레이스 등 총 4곳에 투자했다.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산하 JTC코퍼레이션이 출자해 만든 부동산 전문 운용사 아센다스도 시그니처타워와 종로플레이스에, 또 다른 싱가포르계 부동산 운용사 ARA도 ING타워와 제일제당빌딩에 투자했다. 유럽 부동산 사모펀드 중에서는 AEW가 시티센터와 HSBC빌딩에 투자해 눈길을 끌고 있다.
외국계 운용사의 국내 빌딩 투자 확대는 주요 빌딩 임대료 수입 중 상당 부분을 외국인이 가져간다는 점에서 국부 유출 논란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외국인 투자는 주로 리츠나 펀드 형태로 이뤄진다. 리츠·펀드는 설사 운용사가 외국계라 하더라도 외국인 자금만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국내 자금도 함께 모집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 스테이트타워남산이나 파인애비뉴빌딩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외국인 투자자가 가세하면서 국내 빌딩 가격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새로운 부동산 투자기법이 활성화하는 측면도 있다. 요즘은 높은 공실률 등의 이유로 저평가된 빌딩을 산 다음 더 많은 임차인을 유치한 뒤 짧은 기간 내에 되파는 행태가 늘고 있다.
[매일경제 용환진 기자]
'수익형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재호]수익형 부동산 투자, ‘득’보다 ‘실’ 따지기 (0) | 2017.06.13 |
---|---|
서울세관 사거리 인근 중소형 빌딩 실거래 사례 및 추천매물 (0) | 2017.06.13 |
군자역 사거리 인근 중소형 빌딩 실거래 사례 및 추천매물 (0) | 2017.06.06 |
[부동산 Q&A] 꼬마빌딩 신규 투자 성공하려면 (0) | 2017.06.05 |
수익형부동산 광고에 수익 기간 숨기면 과태료 최대 1억원 (0)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