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부동산 관련)

현대경제硏, 기준금리 1%p 오르면 한계가구 이자부담 연 332만원↑

웃는얼굴로1 2017. 5. 22. 19:15

기준금리가 1%포인트(p)만 올라도 한계가구가 감당해야 하는 이자 부담은 연간 332만원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계가구란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의 40%를 초과하는 가구를 말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1일 발표한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가계부채는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절반 이상이며 전체 대출의 71.6%가 변동금리 대출이다.

 

금리충격 발생 시 가계 재무건전성 변화 [현대경제연구원 제공=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이자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특히 기준금리가 오를 때 대출금리가 더 빨리 오르는 것을 고려하면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대출금리는 최대 3%포인트까지 오를 수 있어 가계에서 느낄 여파는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미국 정책금리 인상 후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 폭의 2배 가까이 올랐고,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4배 가까이 상승했다.

 

이처럼 대출금리가 3%포인트 오르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38.7%에서 43.9%로, 한계가구의 DSR은 127.3%에서 134.0%로 각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연간 가구당 평균 이자비용은 308만원에서 476만원으로 168만원, 한계가구는 803만원에서 1135만원으로 332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출금리 상승은 소비에 악영향을 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금융복지조사 복지부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해 보면 DSR이 5%포인트 올라갈 때 가계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0.11%포인트 감소했다.

 

[매일경제 디지털뉴스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