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내년 초 최종 확정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13곳 중 하나인 용산구 해방촌의 대표 마중물 사업 대상인 신흥시장이 6년간 상가 임대료를 동결하기로 했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신흥시장 내 건물·토지수 44명과 임차인 46명 전원이 참여해 6년간 임대료를 물가상승분만 반영하고 동결하기로 합의했다고 8일 밝혔다.
임차인 대부분이 최근 1~2년 사이 둥지를 튼 청년예술가 등 젊은 창업인들이라 안정된 기반 위에서 앞으로 시장 내 도시재생 사업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지역은 서울시가 지난해 말 발표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 대상 지역 6개(해방촌, 대학로, 인사동, 신촌홍대합정, 북촌, 서촌, 성미산마을, 세운상가 성수동) 중 하나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각하다고 판단되거나 지역 내에서 극복의 움직임이 있는 곳들로, 이 가운데 처음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신흥시장 소유주들은 “처음에는 동의가 쉽지 않았지만, 청년들이 시장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는 것을 보며 우리 역시 지역을 살리는 데 동참하는 마음으로 뜻을 함께 하게 됐다”며 “시장이 더욱 발전하는 것은 물론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와 관련해 10일 오후 7시 용산2가동 주민센터에서 시와 용산구, 신흥시장 건물 소유주, 임차인 등이 함께 ‘신흥시장 활성화와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한다. 이어 ‘해방촌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도 열린다. 공청회는 사업 총괄계획가 한광야 동국대 교수의 ‘해방촌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에 대한 설명과 전문가토론 및 주민 질의답변 순으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내년 초 ‘해방촌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또 향후 소유주, 상인, 서울시, 용산구 등이 참여하는 ‘상생협의체’를 구성, 협약의 안정적 유지와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방촌 신흥시장은 1970~80년대 니트산업 활성화로 번성했지만, 지역산업 쇠퇴와 시설 노후화로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해방촌 오거리에 있는 시장이다. 해방촌 도시재생 주민협의체가 주축이 돼 지난해 12월 8개 마중물 사업 중 하나로 ‘신흥시장 활성화’를 선정, 주민생활과 예술이 공존하는 ‘해방 아트마켓’으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해방촌 지역(용산구 용산2가동 일원, 면적 33만 2000㎡)은 지난해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지난 4월에는 ‘국토부 도시재생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약 100억 원(국비 50억원, 시비 50억원)의 공공지원을 투입, 지역역량강화사업, 앵커시설 확충 등 마중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앞으로 신흥시장이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모범적으로 실현한 도시재생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승현 (eyes@edaily.co.kr)
'상가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단지 내 상가 완판 행진.. '알짜' 감별법은 (0) | 2016.11.17 |
---|---|
신도시 상가 임대료, 어디가 더 높을까? (0) | 2016.11.10 |
주요 상권 대형식당 매물 '속출'.. 임대료 떨어질까 (0) | 2016.10.28 |
밥은 '점심·홀·단품'으로, 일식은 발길 '뚝'..빌딩 상가 '빨간불' (0) | 2016.10.28 |
상암DMC, 북촌 등 강북 위주로 상가 임대료 상승 (0) | 2016.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