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도망갈 수 없습니다.
이 우주는 뜨거운 주전자와 같습니다.
이 우주 속의 어느 곳으로 가든 우리는 우리들의
경험에 의해 요리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가 잘 구워질 때까지 이것을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이 신의 의지를 받아들이면 즐겁고 평화로울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오 신이여, 이 무슨 고생입니까?" 하고 말하지만
우리는 "좋습니다. 저를 이렇게 단련하시는군요. 계속하십시오"라고 말합니다.
세상은 정말 끔찍하지도 불완전하지도 않습니다.
실제로 세상은 완벽한 것입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디트로이트 공장에서 생산되는 그 어떤 새차보다 더 훌륭히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정련되는 중입니다.
만약 우리가 세상을 이런 식으로 이해한다면 여기서 도망하려고 할
까닭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일단 이 세계에서의 경험으로 잘 구워지고 나면
우리는 집착이 없어져 "이제 난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고 나면 또 타인에게 조언도 해줄 수 있습니다.
"걱정마. 자네도 머지 않아 잘 구워져서 나처럼 행복해질 거야."
만일 우리가 고통의 의도를 안다면, 에고를 태워 없애 버리는 것이
고통의 목적임을 안다면,
그때는 고통을 향유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고통은 정화의 한 방법으로서 그 고통을 변형하기 위해서는
마음과 몸의 열을 내어
소망스럽지 못한 불순물을 태워 버려야 합니다.
그러니 고통이 찾아올 때에 그 고통을 받아들이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고통을 일부러 찾아다닐 필요는 없습니다.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고통을 야기시키는 일은 피해야 하며 영적 수행이라는
이름으로 몸에 폭력을 가해서도 안됩니다.
실제로 몸에 바늘을 꽂아 통과시킨다든지, 불 속을 걷는다든지,
일부러 어려움을 견디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역경이 요구됩니다.
역경이 오거든 그것은 여러분을 명상 수행자가 되도록
고무하는 매질이라는 것을 깨달으십시오.
선(善)을 알려면 무엇이 악(惡)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것이 삶입니다.
인생의 교훈을 받아들이도록 하십시오.
타인의 행복을 위해 고통을 감내하는 것이 헌신한다는 것입니다.
고통이 오거든 기쁨으로써 그것을 받아들이고,
신과 그 고통을 보낸 이에게 감사해하고 절하도록 하십시오.
그 발에 이마를 대도록 하십시오.
하지만 그 사람처럼 타인에게 고통을 주는 사람은 되지 마십시오.
고통에서 교훈을 얻도록 하십시오.
그것은 우리가 저지른 잘못에 대한 경고입니다.
고통이 있거든 원인을 찾아보십시오.
결국 고통이란 게 뭐겠습니까?
고통은 행복을 상실하는 것일 뿐입니다.
고통은 왜 행복을 잃어버렸는지 발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사람들은 행복해지기 위해 물건들을 원합니다.
지금 우리가 바라는 것은 그림자 같은 것입니다.
우리가 달리면 그들은 더욱 앞서 달려갑니다.
그러면 우리는 그 그림자를 좇아 더 빨리빨리 달립니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그것을 잡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사물들은 그것이 바로 우리의 부분이기 때문에 언제나 우리 앞에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평안하게 되면 모든 것이 우리를 찾아올 것입니다.
그 빛을 향해 걸으십시오.
그리하면 모든 그림자들은 우리를 따를 것입니다.......
바램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사람이 되십시오.
그러면 더 높은 의지(the Higher Will)에 의해
인류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도록 어떻게든 쓰이게 될 것입니다.
그리하여 더 높은 힘이 우리를 사로잡고 우리는 계속 일을 하면서도
친구들과 기타 다른 사람들을 통해 그 더 높은 의지의 보살핌을 받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신(神)이라거나 자연력 혹은 생명력이라 부르는 모든 사물을 통해
생존하는 우주의식은 우리 자신에게도 흐르고 있습니다.
그것은 만물을 보살피며, 만일 우리가 거기에 벽을 쌓지만 않으면
우리 역시 그 힘의 보살핌을 받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일을 할 자유로운 의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자신만을 위해 어떤 일을 하면 그 반작용이 우리에게 옵니다.
이 반작용을 일컬어 '업'이라고 합니다.
바르게 하는 일은 업을 낳지 않습니다.
사(私)가 없는 행동은 업(karma)을 낳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기적 행동은 항상 업을 가져옵니다.
이런 까닭에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주어진 것입니다.
현생에서 우리는 자유로운 의지를 지니고 시험을 치르는 중입니다.
우리는 사심(私心)으로 행동하여 더 많은 업을 낳을 수도 있고
더 높은 의지로써 업을 낳지 않도록 타인의 이익을 위해 살 수도 있습니다.
최상의 이해력으로 보면 우리는 결코 업을 지녔던 적도 없고 과거의 업과 직면해야 한다고 염려할 필요도 없습니다.
업을 낳는 행동을 하고 그 업의 반응을 입는 것은 우리의 마음일 뿐이며, 그것은 우리의 자신이 아닙니다.
우리는 순수한 자아입니다.
한번이라도 마음이 내재한 신을 체험하고 나면 더 이상 업은 없어집니다.
그것은 모두 소멸되어 버립니다.
- 출처 : 바바 하리다스, 마음을 다스리는 아름다운 이야기 중에서
'유용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근이냐, 계란이냐, 커피냐. (0) | 2010.08.29 |
---|---|
[스크랩] 솔개의 장수 비결 (0) | 2010.08.29 |
[스크랩] Life is(삶이란...) (0) | 2010.08.29 |
[스크랩] 내가 웃으면 세상도 웃는다!!....2010년 8월 27일 (0) | 2010.08.29 |
[스크랩] 마음으로 돈을 끌어오는 9가지 법칙....2010년 8월 28일 (0) | 201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