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두께의 토담벽과 한옥 지붕의 조합
나이가 들어갈수록 자연 곁으로, 흙 가까이 가고 싶은 것은 하늘의 이치일까. 흙 말고는 어떤 것도 첨가하지 않은 순수 토담벽에 국산 소나무로 지붕을 엮은 현대 흙집을 만나본다.
[HOUSE PLAN]
물도 섞지 않은 100% 황토 토담 치기
토담집 기초는 돌을 사용한다. 시멘트는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흙과 닿으면 좋지 않다. 주변에 발파 현장이 있으면 흠집이 있거나 무늬가 쓸모 없는 돌을 사서 용도에 맞게 재단해 가져온다. 현장이 너무 멀어 운반비가 비쌀 경우는 어쩔 수 없이 시멘트 기초로 하기도 한다.
기초 위에 토담 전용 담틀(시멘트 콘크리트 공법으로 치자면 거푸집)을 세워 안틀과 바깥틀을 전용 볼트로 조립한다. 운반 틀에 흙을 담아 담틀 안으로 옮겨 넣고 전용 다짐기로 흙을 다진다. 담틀집은 벽두께가 50㎝에 달해 단열과 방음이 뛰어나고, 이음새 없이 한 구조체로 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 거푸집을 옮겨 가며 토담하는 벽은 이음새가 생기고, 이 부분은 추후 크랙이 발생하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토담치기가 끝나면 시멘트집처럼 양생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틀을 벗겨 바람에 건조시킨다.
현관문 제작하기
250㎜ 'ㄷ'자 철판(찬넬)을 사용해서 문틀을 제작하고 송판은 두께 4㎝, 넓이 15㎝, 길이 215㎝ 규격으로 12장을 사용한다. 송판 끝부분을 'ㄴ'자 모양을 따내서 겹쳐시공하면 나무가 말라도 벌어진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목재 현관문 안쪽으로는 PVC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해 기밀을 높였다.
지붕 올리기
보를 걸고 서까래를 올린 후, 천장 루버 작업을 한다. 그 위에 천을 덮고 단열재 역할을 하는 흙을 올린다. 이때 흙은 마른 흙으로 최소 20㎝ 이상은 덮어야 단열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위에 트러스 작업을 하고 기와를 얹는다. 지붕 속에 환풍기를 설치하면 한여름 지붕 안의 데워진 공기를 빼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실에서 불 때는 함실 구들방
구들정개는적벽돌과 흙 모르타르를 이용해 높이 50㎝ 정도로 쌓는다. 구들방 바닥을 고를 때 윗목 쪽(굴뚝이 나가는 쪽)을 10㎝ 정도 높게 해 불이 잘 나갈 수 있도록 한다. 함실 위로는 보강철을 설치하고 그 위에 구들장을 올린다. 구들장으로 현무암 판재를 깔고, 진흙 모르타르로 틈새를 막은 후 직접 불을 때 연기가 새는 부위가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건물 밖으로 굴뚝을 세우려면 먼저 굴뚝 개자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개자리는 고래보다 낮아야 되며 반드시 바닥에 방습을 해 주어야 불이 잘 든다. 굴뚝은 연도를 이용해 처마보다 높은 키로 하고, 연도와 굴뚝이 만나는 지점에 환풍기를 단다.
창호 공사와 벽체 미장
흙집의 창호 틀을 목재로 짜면 시간이 지나면서 틈이 생기고, 흙의 하중을 받치기도 버겁다. 특히 토담집은 두께만 50㎝에 이르고 보와 서까래를 거는 한옥 지붕은 무게도 상당하다. 이 집은 철 구조물로 보강 창틀을 만들어 토담을 칠 때부터 인입해 양쪽 날개에도 흙을 넣어 시공했다. 거실 보강 창틀만 해도 무려 무게 915㎏에 달하는 구조물이다. 여기에 이중 창틀을 분리해 바깥쪽으로 페어유리를 끼고 40㎝를 띄어서 안쪽으로도 22㎜ 창틀을 시공해 놓으면 방음이나 단열 효과가 만족스럽다.
벽체는 토담 안쪽으로 목재 틀을 세워 양모단열재를 시공했다. 건축법상 단열 성능이 강화됨에 따라, 고심 끝에 화학물질이 전혀 없는 단열재로 선택한 것이다. 내벽은 코코넛 섬유질을 섞은 순수한 황토 모르타르를 바르고 흙이 묻어나지 않도록 건조 후 또 한 번 맥칠을 했다.
흙집의 명품, 토담집에 살며
건축주가 이 집에 입주한 지도 1년이 지났다. 애초 한옥을 짓고자 여러 집들을 답사하고 고민한 끝에 토담집을 선택했지만, 사계절을 보낸 후 건축주는흙집 예찬론자가 되었다.
"몇 년 지난 한옥을 가 보니 나무와 흙이 갈라지고 바람이 드는 문제가 여지없이 있었어요. 그런데 이 담틀집은 틈 하나 없이 견고해 집 안에 들어가 앉으면 무슨 요새 같아요. 지금도 방문을 열 때마다 흙과 나무가 섞인 기분 좋은 냄새가 풍기죠. 몸을 정화시키는 집이라 표현하고 싶어요."
건축주는 밭농사를 짓고 정원을 가꾸는 빠듯한 일상에도 흙집에 기대 피로를 날리고 내일을 고대한다. 옛 토담집은 새로운 기술력을 더해 이렇게 우리 곁으로 다시 돌아왔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전원주택·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칼럼] 지금이 과연 이도향촌(離都向村) 시대일까? (0) | 2016.01.06 |
---|---|
전원주택 지을 토지,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0) | 2016.01.04 |
[라이프 칼럼-박인호] 시골은 시골다워야 시골이다 (0) | 2015.11.11 |
15년 된 목조주택의 속 깊은 변신 (0) | 2015.10.22 |
이천 사랑방 주택 (0) | 2015.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