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앞뒤 안본 골프장개발-건설사들 벼랑으로

웃는얼굴로1 2011. 2. 19. 00:30

건설업계, 기존사업 재검토 및 신규 추진 지양

국내 골프인구 증가와 더불어 2000년대 우후죽순처럼 늘어났던 골프장 개발사업이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있다.

경기불황으로 인해 회원권 거래가 줄고 가격이 급락하는 동시에, 사업성 부족으로 인한 PF(프로젝트파이낸싱) 자금조달마저 차질이 빚어져 개발시행사들이 줄도산 위기에 처한 것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거나 허가를 받은 골프장은 110여개에 달하고,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골프장도 14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가운데 상당수는 토지매입 및 자금조달 과정에서 난항을 겪으며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또 허가를 받고 착공까지 진행했으나 추가 자금조달 및 회원유치에 실패한 개발시행사들은 부도 등 도산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이렇다보니 그간 개발사업에 뛰어들었던 건설업계에게도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국내 골프인구는 지난 2008년 350만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동남아나 중국 등 해외로 나가는 골퍼가 급증하면서 국내에서는 골프장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2004년 정부의 골프장 건설규제 완화로 전국적으로 골프장 개발사업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2000년 운영되던 골프장 수는 174곳에 불과했으나 작년에는 407곳으로 늘어났다.

여기에 2008년 하반기 금융위기와 함께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회원권 거래는 급감하고 있고 회원권 가격도 가파르게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수도권 최고의 명문으로 불리던 남부와 남촌, 가평베네스트 등 주요 골프장의 회원권가격은 2년전 대비 약 50~60%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

때문에 신규 건설예정 골프장은 물론, 기존 운영 중인 골프장들마저 회원들의 입회금 반환 소송이 벌어지는 등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에 따라 지난 연말 골프장 개발 관련 사업승인을 받으려면 시행사가 일정 수준의 자기자본금을 보유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도개선안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토지매입 등 개발이 진행 중인 사업은 돌파구 마련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렇다보니 건설업계도 기존 골프장 건설사업에 대한 재검토는 물론, 신규 사업추진을 지양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회원제 골프장 개발사업은 주택PF사업과 비슷한 지급보증 구조로 추진되기 때문에, 시행사가 부실하거나 회원권 분양에 실패할 경우 그 피해가 고스란이 건설사에 전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골프장 개발은 주로 중견건설사들이 많이 참여한 만큼, 골프장발 유동성 위기가 찾아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봉승권기자 sk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