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토지를 싸게 매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지인이 갖고 있는 토지 주변을 잘 살펴보는 법이고, 또 하나는 여러 명이서 커다란 토지를 매입하는 것이다
왜 지인이 갖고 있는 토지의 주변을 살피라고 하냐면 그 토지 주변으로 가끔 맹지인 토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 맹지는 길이 닿는 토지 시세의 절반가격이거나 그보다 아래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내가 잘 아는 지인이 길을 터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만큼 지인이 가깝지 않거나 욕심이 많은 사람일 경우에는 힘들겠지만 잘 아는 사람이라면 가능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공짜로 사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대토를 하거나 적당한 가격에서 도로 사용료를 내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여기에서 대토란 토지를 구입한 후 내가 도로 사용한 도로 면적만큼이나 아니면 그 이상 면적을 지인의 토지에 붙은 쪽으로 분할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 명이서 토지를 매입하라는 것은 면적에 따라 토지의 평단가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원생활 시 꼭 필요한 200평은 매물 찾기도 어렵고 수요층이 많은 관계로 평당 40만원 한다면 2000평은 규모와 전체 매매가격이 부담스러워 수요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평당 15~20만원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반값이나 그 이하에 매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는 토지를 매입하는 사람 중 책임지고 공정하게 추진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여러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추진하는 사람은 인허가와 관련된 사항들, 토목에 관련된 사항들, 도로 등 부동산 전반에 걸쳐 문제가 없는지 살피고 진행해야 하는 만큼 전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각각 개개인 토지에 대한 행위는 나중에 진행한다 하더라도 꼭 동시진행을 해야 할 도로 즉 포장과 하수도, 배수, 상수도 등 공통분모 사항은 미리 해결해 놓아야 그 어떤 경우에도 분쟁의 소지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선행해 놓아야 한다. 물론 그 비용 또한 함께 부담하고 투명하게 처리돼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위와 같이 하게 되면 서두에서 밝힌 대로 그토록 원하던 전원주택용 토지를 거의 반값이나 그 이하로 매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설명한 대로 실제로 진행할 만한 토지와 전문가가 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실 것인가 !!
전원마을을 조성하는 필자는 법인으로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농지가 아무리 관리지역이라 해도 법인 명의로 구입할 수 없도록 한 것이 현재의 법이다. 법인이 농지를 구입하는 경우가 있긴 한데 그 경우는 미리 사용승낙을 받아 전용허가를 받는 방법이다 그 절차상을 따라가다 보면 법인 입장에서는 수익성이 매우 떨어져 손을 안 대고 있던 것이다 그렇다고 개인 명의로 사서 개발하여 팔 경우 막대한 세금과 비용이 묶일 수 있기 때문에 그냥 놔두고 있던 것이다 현재 우리전원마을 분양가가 45~5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1/3 수준인 것이다 물론 맹지이기 때문에 더욱 싼 것이다.
그래서 혹 이 글을 읽는 분이 계시다면 제안을 하나 하고 싶다 만약 필자가 길을 내주고 그 토지를 살 수 있게 중재를 서준다면 매입할 의사가 있냐는 것이다 그런데 왜 이제 와서 그런 제안을 하냐고 의심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원래 그 토지들이 푹 꺼진 농지였으나 지인이 내가 조성하고 있는 전원마을 인근에 토사채취용으로 임야를 사서 허가를 진행 중이다 그래서 만약 농지를 사게 되면 흙을 넣어 줄 수 있냐 물었더니 흔쾌히 허락을 했던 것이다 만약 그런 호기가 없었다면 일부러 흙을 사서 넣어야 하는데 그 비용 또한 몇 천 만원 들어가 토지원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설명한대로 길과 성토할 흙을 책임진다면 생각이 있으신 분들은 연락을 주기 바란다. 설명을 덧붙인다면 우리전원마을은 현재 조성한 세대수가 총 23세대 중 15필지 팔렸고 그 중 6세대가 들어와 살고 있는 곳이다. 그 곳에 붙어 있는 토지인 것이다.
'전원주택·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평 전원주택, 3040세대가 몰려든 이유 살펴보니.. (0) | 2014.03.04 |
---|---|
전원주택 다시 뜬다 (0) | 2014.03.03 |
전원주택 에세이_ 내 집은 이렇게 짓자 (0) | 2014.02.28 |
버려라~ 그러면 전원생활이 즐거워진다. (0) | 2014.02.27 |
전원주택 인허가 요령 종류 (0) | 2014.02.27 |